안녕하세요.
오늘은 중소벤처기업부 예산이 확정되어 공유드립니다.
2025년 중기부 예산은 15.2조원으로 확정되었는데요.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위기극복과 새출발, 그리고 중소기업, 벤처기업, 스타트업의 글로벌 도약과 혁신성장이 예산의 헤드라인입니다.
15.2조원은 2024년 14.9조에서 약 2,991억원 증액되었는데, 2%정도 증액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소상공인/자영업자는 약 766만 ,중소기업/벤처기업/스타트업은 804만정도로 집계된다고 합니다.
2025년 에산의 5대 중점투자방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위기극복과 전통시장, 골목상권의 활력 회복
현재 계속 이어지는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어렴움을 겪는 영세소상공인의 경영부담완화를 위해 배달/택배비 한시지원, 신용이 취약한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확대 그리고 시중은행 상환기간 연장(전환보증)등의 금융지원 보강예정입니다.
또한 사업자를 페업하게되었을때 재취업/재창업을 지원하는 희망리턴패키지사업을 확대하고, 새출발을 지원하는 민간 플랫폼사 연계사업들을 신설하여 디지털 역량을 제고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의 발행 확대와 지역상권활력사업을 신설하여 내수소비를 늘릴 수 있도록 추진
2. 혁신 주도산업 /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
차세대 성장동력인 AI, 팹리스분야의 스타트업 특화 지원을 신설하고, 고도화된 개방형 혁신을 통해 대기업과 딥테크 스타트업의 연결을 강화하는 글로벌 유니콘기업을 육성
민간자본을 생태계로 유입시키는 모태펀드 출자 예산확대, 저변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R&D지원을 국가 전략기술 및 글로벌 협력중심으로 늘려 혁신 스타트업의 성장동력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3. 수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지원
미래 수출분야로 떠오르는 테크 서비스 수출을 새롭게 지원하고 수출 중소기업 전용 스케일업 금융을 확대하는 등 수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예산을 배정합니다.
딥테크 스타트업들이 입주하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인재들이 글로벌 창업허브 건립을 내년부터 시작,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영역을 확장하는 등 스타트업코리아 실현에 박차를 가할예정입니다.
4. 지역이 주도하는 혁신 성장과 디지털 제조혁신
지역 중소기업들의 자율혈 바우처 지원을 확대하여 지역특화 R&D지원을 신설, 지역 혁신기업들의 경제활성화의 주역으로 만듦
디지털 제조혁신을 위해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 확대, 내년에 지역 제조AI센터 3곳을 추가하여 AI기반의 제조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뒷받침할 예정입니다.
5. 지속가능한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및 동반성장 확산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발전을 꿈꿀 수 있는 스케일업의 체게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점프업 프로그램을 신규 편성하여 미래도약을 돕습니다.
민간 및 기관의 공동 상생협력 지원을 신규 편성하여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확산을 유도하고, 공급망 연계 정책자금도 확대하여 지속가능성이 있도록 만들어갈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자영업자/중소기업/벤처기업/스타트업의 미래도약을 위해 2025년 예산을 집중하고 우리 경제의 활력과 역동성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신속한 재정집행에 집중한다고합니다.
이후 내용은 새로운 정책자금 및 정부지원 사업이 공고되면 안내드리도록하곘습니다.
지금은 2024년이 끝나가는 시점이기때문에 2025년 준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재무제표 점검, 매출 및 부채현황 점검, 정부지원금 및 세제혜택 점검 등 여러가지 경영지원이 필요한시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담신청을 통해 도와드리겠습니다 !
Kommentare